세상공부

미래의 직업에 영향을 미칠 IT기술 7가지 : 2023 주요 트렌드

이평생 2023. 5. 24. 14:30
반응형

미래의 직업에 영향을 미칠 IT기술 7가지 : 2023 주요 트렌드

IT산업은 첨단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혁신을 확대하려는 많은 조직의 시도와 노력에 힘입어 여전히 업무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챗지피티(ChatGPT)나 바드(Bard), 미드저니(Midjourney)와 같은 인공지능(AI) 도구가 등장하면서 더 쉽게 체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뛰어난 AI의 능력에 놀라면서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미래의 직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인력솔루션 회사인 맨파워그룹(Manpower Group)에서는 IT혁신을 주도하는 7가지 기술 트렌드와 그 기술이 우리의 직업과 업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여기에서는 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T혁신을 주도하는 기술 트렌드 7가지
미래 직업과 IT기술 트렌드

 

 

IT혁신을 주도하는 기술 트렌드 7가지

1. 디지털 기술의 채택 증가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가상화와 비물질화(dematerialize)를 위해 고급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생산 및 서비스 개발 주기와 프로세스 결과를 단축하고 있습니다. 이미 대기업의 70%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개발을 모색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이와 관련된 시장이 480억 달러(한화 약 63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는 현재 3조 달러에서 2030년 경에는 10조 달러(한화 약 1경 3,000조 원)까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7억 명의 사람들이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을 포함한 메타버스 기술을 사용할 것이며 그 시장 규모는 1조 9,100억 달러(한화 약 2,5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관련 IT기술을 가진 인력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계속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습득과 향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발전으로 인해 실직한 이들이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재교육도 필요합니다.

 

2. 인공지능 도구의 사용 증가

많은 기업들이 머신러닝, 딥러닝, 인지컴퓨팅, 자연어처리, 컴퓨터비전 등과 같은 인공지능의 혁신을 통해 그들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은 가속화될 것입니다. 맥킨지에 따르면 50% 이상의 조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야에 AI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또한 ChatGPT에 100억 달러(한화 약 13조 원)를 투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MS)와 같이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서 AI의 채택이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AI가 계속 성장하고 확장됨에 따라 그동안 인력으로만 수행되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만 AI의 영향이 얼마나 클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AI의 채택과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머신러닝엔지니어, 데이터과학자, 자연어 엔지니어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고용, 성과관리, 인력계획, 리스크관리, 경력개발, 복지후생 관리 등 많은 분야에서 AI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3. 사물인터넷의 확대

사물인터넷(IoT)은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IoT 기기의 수는 2019년 기준 86억 개에서 2030년 경에는 약 300억 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스마트 빌딩, 상태기반 유지보수(CBM), 스마트 미터(Smart meter), 스마트 의료기기 등이 포함됩니다. 많은 이들이 개인화된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에 익숙해지면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및 스마트홈 기기와 같은 IoT기술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빠른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의 확장은 IoT 기기의 성능과 기능을 더 끌어올리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IoT와 관련된 글로벌 IT서비스 시장은 2025년까지 약 580억 달러(한화 약 77조 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IoT의 성장으로 이와 관련된 솔루션 설계자와 IoT 관련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다만 IoT를 활용한 자동화로 일부 직업은 없어질 수 있습니다.

 

4. 소프트웨어의 혁신

현재 우리는 소프트웨어 혁신을 가속화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데브옵스(DevOps) 및 머신러닝옵스(MLOps)를 채택하면 코드 및 ML모델을 운영 환경에 제공하고 이를 유지, 업데이트,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드가 필요 없거나 코드 사용이 쉬운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직관적인 그래픽 도구와 내장된 기능을 사용하여 코딩 경험이 없는 사람도 코딩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025년 경에는 소프트웨어의 70% 이상이 이러한 기술로 개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도 데브옵스의 방식을 도입하면 ML모델의 개발 및 배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과 관련해 QA(Quality Assurance)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시장 규모는 2021년 400억 달러에서 2030년 700억 달러(한화 약 92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IT 및 QA 관련 기술을 가진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데브옵스(DevOps) 및 머신러닝옵스(MLOps) 기술을 가진 인력에 대한 수요 역시 지속되거나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더 많은 인력이 로우코드(low code) 또는 노코드(no code)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합니다.

 

5.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채택 증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3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 즉 아마존, MS, 구글을 대체할 다른 서비스를 찾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에지 컴퓨팅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2025년까지 고성능 컴퓨팅(AI, HPC, BDA) 작업의 50%가 클라우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CIO(최고정보관리책임자)들의 70%가 클라우딩 컴퓨팅 관련 인력 사이에는 기술 격차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관련 분야가 계속 성장함에 따라 인력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특히 AWS, Azure, GCP 기술 및 경력이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오픈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입니다.

 

6. 사이버 보안 강화

사이버 공격의 위험과 그로 인한 피해가 커짐에 따라 많은 기업에서는 사이버 보안 기능과 관련 인력의 확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분석 및 이상 징후를 식별하며 위협으로부터 대응하는 데 AI를 사용하고 하고 있으며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기업에서 제로 트러스트(Zero-Trust) 기술에 대한 예산 할당을 늘리며 보안 강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숙련된 기술 인력의 부족은 인력 확보를 위한 업스킬링(upskilling), 리스킬링(reskilling) 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사이버 위협을 식별하고 무력화하기 위한 내부 직원들의 교육 훈련도 중요하합니다.

 

7. 자동화

많은 조직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면서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세계 로봇시장은 2021년 약 250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1,600억 달러(한화 약 210조 원)에서 2,600억 달러(한화 약 342조 원) 사이로 성장할 것입니다. 전문 서비스 로봇의 시장 점유율은 최대 1,700억 달러(한화 약 224조 원), 산업 및 물류 로봇은 약 800억 달러(한화 약 105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24년까지 하이퍼자동화기술과 재설계된 운영프로세스를 결합하여 운영 비용을 약 30% 절감할 것입니다.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의 경제적 영향으로 2025년까지 매년 약 550억 달러(한화 약 72조 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봇 개발 및 유비 보수 기술을 보유한 인력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그러나 자동화의 도입 확대는 그로 인해 대체된 인력의 업스킬링, 리스킬링의 필요성을 증가시킵니다.

 

 

맺음말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 계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IT 산업의 변화와 혁신 속도를 더욱 빨라질 것입니다. 이런 혁신 기술들이 확장됨에 따라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점점 더 많은 조직에서 활용할 것입니다. 그러나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확대로 당분간 관련 인력의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기술의 도입으로 대체되는 인력은 증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인력의 공급과 수요, 업스킬링, 리스킬링 등 인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것이 미래의 중요한 차별화 요인이 될 것입니다.

 


 

참고자료 : IT World of World 2023 Outlook(ManpowerGroup).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