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 운영관리사 / 2023년 시행 예정 국가기술자격증
2021년 신설 국가기술자격 중 '이러닝 운영관리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제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표현인 '이러닝'이 무엇을 뜻하는지 그 개념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닝(e-Learning)이란 electronic의 ‘e’와 학습을 뜻하는 'learning'이 합쳐진 단어로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ㆍ방송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을 말하며 전자학습, 전자교육이라고도 합니다. 이러닝과 비슷한 표현으로 온라인 교육, 온라인 학습, 원격교육, 원격학습, 가상교육, 가상 학습, 사이버교육, 버추얼 교육, 컴퓨터 기반 교육, 스마트러닝 등이 있습니다. 공공기관 및 관련 법에서는 주로 이러닝이라는 표현을 채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앞의 여러 표현들 보다 '이러닝'이 대표적·포괄적 개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 관련 공공기관에서는 VR·AR, AI, IoT 등의 기술을 활용한 교육·학습을 가리키는 에듀테크(Edu-Tech)도 이러닝의 개념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러닝산업과 관련 직종
이러닝산업이란 이러닝을 위한 콘텐츠, 솔루션, 서비스, 하드웨어를 개발, 제작 및 유통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이러닝 관련 정보·자료를 멀티미디어 형태로 개발·제작·가공·유통하는 콘텐츠 분야, 이러닝 정보시스템(HW·SW·기자재)을 개발·제작·가공·유통하는 솔루션 분야, 이러닝 서비스(교육·훈련·학습 등) 제공, 이러닝 관련 컨설팅 수행하는 서비스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들 분야에서 이러닝 사업 관련 업무나 이러닝 컨설턴트·교수설계·콘텐츠 개발·영상제작·시스템 개발·과정 운영 등을 수행하는 사람을 이러닝 종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이러닝 관련 직종과 직무는 다음의 6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이러닝 컨설턴트 : 이러닝 사업 전체를 이해하고 이러닝 기획과 콘텐츠 설계, 개발, 시스템 개발, 과정 운영 등 이러닝 사업에 대한 제안과 문제점 진단, 해결 등에 관하여 자문하며, 이러닝 직무 분야 중 하나 이상의 전문 역량과 경험을 보유한 자
- 이러닝 교수설계자 : 콘텐츠에 대한 기획력을 갖고 학습 목적을 고려하여 학습내용과 자원을 분석, 학습목표와 교수방법을 설정하여 학습내용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의 전 과정을 진행 및 관리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
- 이러닝 콘텐츠개발자 :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기획력을 갖고, 교수설계 내용을 이해하여, 멀티미디어 요소를 활용해서, 콘텐츠를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
- 이러닝 영상제작자 : 이러닝 콘텐츠 구현에 필요한 교육용 영상을 기획하고, 촬영 및 편집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영상제작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 이러닝 시스템개발자 : 온라인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기획, 프로젝트 관리를 포함하여 학습의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
- 이러닝 과정운영자 :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학습자와 교강사 활동을 지원하며, 학습과 관련한 불편사항을 개선함으로써 학습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
이 중 '이러닝 과정 운영자'가 이러닝 운영관리사와 관련된 직종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교육의 수요 증가와 VR·AR, AI, IoT 등의 신기술을 적용한 교육(에듀테크)의 확대는 이러닝 기술 및 콘텐츠 개발, 서비스 등과 관련된 국내외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입니다. 또한 기술은 계속 발전할 것이고 코로나19 팬데믹의 종식 이후에도 이러닝의 수요는 줄어들지 않고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지원하는 전문인력의 양성과 공급이 필요합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자격 취득
정부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이러닝산업의 발전과 이러닝 활성화 기반의 강화를 위해 꾸준히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이러닝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인 이러닝 운영관리사를 신설한 것입니다. 이러닝 운영관리사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닝의 운영과 관련해 운영계획 수립, 활동 지원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NCS에서 요구하는 이러닝 과정 운영과 관련된 능력으로는 이러닝 운영 기획관리, 운영 준비, 학사관리, 교·강사 지원, 학습활동 지원, 고객사 지원, 평가관리, 업무협력, 산업 파악, 활동관리, 교육과정 관리, 학습자 관리, 지원 도구 관리 등이 있습니다.
이러닝 운영관리사의 자격 취득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2023년 시행을 예정으로 하고 있으므로 늦어도 2022년 하반기에는 세부적인 내용이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에 제시된 사항으로 기본적인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시행규칙에 따르면 별도의 응시자격은 없으며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누어지고 필기시험은 '이러닝 운영계획 수립', '이러닝 활동 지원', '이러닝 운영관리', 실기시험은 '이러닝 운영 실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치러집니다. 합격기준은 과목당 100점 기준으로 필기시험은 매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며 실기시험은 60점 이상입니다.
이상으로 2021년에 신설, 2023년에 시행 예정인 국가기술자격 이러닝 운영관리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험과 관련된 정보가 공개되면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 이러닝(전자학습) 산업 발전 및 이러닝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 국가직무능력표준(NSC)
- 제4차 이러닝산업 발전 및 이러닝 활용 촉진 기본계획(2022~2024)(산업통상자원부, 2021)
- 2020년 이러닝산업 실태조사(산업통상자원부, 2021)
'세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업무 환경 변화 5가지 트렌드(2022) (0) | 2022.01.24 |
---|---|
2022년 대통령선거와 전국동시지방선거 (0) | 2022.01.20 |
제20대 대통령선거/대선/2022년 대통령선거 투표참여 방법 선거일정 (0) | 2022.01.11 |
제20대 대통령선거/대선/ 2022년에는 대통령선거가 있습니다(1) (0) | 2022.01.09 |
세상공부 평생공부 (0) | 2022.01.07 |